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은 '우려 변이'로 이름을 결정했습니다. WHO는 오미크론은 돌연변이 보유 수가 많으며 재감염 위험률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미크론은 지난 24일 남아프리카에서 최초 보고됐으며, 보츠와나, 벨기에, 홍콩, 이스라엘에서도 발견되었고 이에따러서 여러 국가는 남아프리카 출입국 제지에 나섰습니다.
남아공, 짐바브웨, 보츠나와 등 남아프리카 지역 국가 여행객들은 영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으면 영국에 입국할 수 없으며
미국 역시 남아공, 보츠나와, 짐바브웨, 나미비아, 레소토, 모잠비크로부터 입국을 29일(현지 시간)부터 전면금지 시켰습니다.
지난 금요일 WHO는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오미크론 확진자가 급증했다고 전했고 UN 공중보건 기구는 "해당 변이는 돌연변이 보유수가 많고 우려스럽다'라는 성명을 냈습니다.
11월 9일 이번 변이바이러스가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WHO는 과학자들이 오미크론의 파급력 전파력을 분석하는 데 수 주가 걸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영국 고위 보건 관료는 백신이 "거의 장담하건데" 변이바이러스에 효력이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옥스퍼드대학교 제임스 나이스미스 교수는 "나쁜 뉴스지만, 최후의 날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변이바이러스의 돌연변이들이 전파 속도는 빠르지만, 감염률 자체는 "아미노산처럼 단순하지 않다"며, 돌연변이 간의 상호 작용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는데요. 하지만 남아공은 인구 약 24%만 백신 접종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높다.
한편 미국 전염병 관리국장 앤서니 파치는 신종 변이바이러스가 "레드 플래그"긴 하지만 기존 백신이 중증 감염엔 여전히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는 CNN과 인터뷰에서 "제대로 검사하기 전까지 항체가 바이러스와 맞서 싸울 수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고 WHO는 각 국가에 여행 제한 조치를 권고하며 "위험성을 고려한 과학적 접근"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한편 영국, 미국, EU에 이 여러 국가가 신속히 여행 제한 조치를 발표하고 있으며 호주는 토요일 남아공, 짐바브웨, 보츠나와, 레소토, 에스와티니, 세이셸, 말라위로부터 입국을 14일간 금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은 토요일,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온 사람들은 10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하며 그 기간 4회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댓글